Select Page

새로운 평화의 시대와 평화로운 땅
전시의 시작

더글라스 호스테터, 코리아아트포럼 이사장

A New Era of Peace and A Peaceful Land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Doug Hostetter. Chair of the Board, Korea Art Forum

<평화의 시대, 평화로운 땅> 전시는 2018년 7월 12일 부터 10월 5일 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워털루시에 있는 그레벨 갤러리에서 맨 처음 <새로운 평화의 시대와 평화로운 땅>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되었다. 그 갤러리는 워털루 종합대학교 캠퍼스 안에 위치한 콘라드 그레벨 대학의 킨드레드 크레딧 유니온 평화진보센터의 부설기관이다. 이 전시의 제목은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위원장이 4.27 정상회담 후에 발표한 연설 중에서 인용한 구절이다. 전시의 주제는 아래와 같다:

평화는 전쟁의 부재가 아니라 경계를 너머 타자와 자유롭게 교류하는 생생한 과정이자 타자의 가치와 관점을 이해하고 정의와 진실을 실현하는 노력이다

이 주제는 전시에서 발표되는 작가와 작품의 선정에서 실현되었다. 이북의 한경보는 1989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이 평양에서 개최되는 중 조직된 데모를 재현한다. 유사하게 이남의 서용선은 2016년 서울에서 일어난 촛불혁명을 묘사한다. 같은 전시에서 관객은 최창호, 김현일, 오성일 등 이북작가들의 백두산 그림을 이남 작가 신태수가 그린 한라산과 비교할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이남작가 주태석의 한국풍경이 있었고, 관객은 자연과 풍경에 대한 코리아의 관점을 로버트 모리스와 조엘 카레이로 등 미국작가들의 작품과 비교할 것을 도전받았다.

전시에서 발표된 사진은 이북의 김룡, 김명운, 홍성광과 중국의 센양, 뉴욕의 이자운으로 구성된 다섯 작가들의 사진을 비교했다. 네개의 지구 중심도시들의 도시풍경과 자연풍경을 소재로 하는 수 많은 사진은 인류의 보편적인 유산과 각 작가들의 차별되는 관점을 제시했다. 이북작가 홍성광의 개인 초상화와 그 옆에 배치된 미국작가 엠마누엘 파우레의 그룹 초상화를 같은 벽에서 함께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시는 더욱 풍부해졌다.

<새로운 평화의 시대와 평화로운 땅>은 콘라드 그레벨 대학 갤러리에서 7월 12일 부터 전시되고 있었으나 전시 리셉션이 9월 20일로 잡혀있었다. 리셉션은 큐레이터 한행길이 전시를 소개하는 강의를 하고 관객에게 전시 투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채워진다는 계획이 설립되어 있었다. 오프닝 날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에 근처의 사립고등학교 학생들이 미술수업을 대신하여 갤러리에 왔다. 그 학생들의 대부분은 동양에서 온 유학생들이었고 전시 투어를 미리 받으러 왔다. 행길은 한 시간 이상을 소요하면서 배경이 아주 다른 동양계와 캐나다 학생들의 주목을 끌도록 전시를 설명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서구매체에 의하여 각인된 선전미술이 아닌 이북미술을 처음으로 대면했다. 학생들은 그들에게 진정한 이북미술을 소개하고 이남미술과 민족적 배경이 다양한 뉴욕미술을 이북미술과 함께 전시하는 한국계 미국인 큐레이터를 만날 있는 것에 놀라와 했다. 그 반 전체는 행길에게 그들과 함께 전시 앞에서 사진 촬영할 것을 요청했다.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코리아는 서구에서 뉴스거리였다. 캐나다는 배후에서 이북과 이남, 그리고 미국의 교류를 격려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지난 1월에 캐나다는 미국과 함께 코리아 반도의 보안과 안정을 토론하는 밴쿠버 외교장관 회담을 주최했다. 지난 7월에 캐나다는 평양 농과학 아카데미의 학자 다섯명의 방문을 허용했다. 그 학자들은 사카치안에 있는 마니토바 대학이 닷새 동안 제공하는 농업에 대한 집중 수업에 참가했다. 9월 말에 캐나다 외교부는 캐나다 정부 관료와 캐나다 비영리 사단법인들과 만나기 위하여 이북 외무성이 파견하는 사절단의 오타와 방문을 주최했다.

그레벨 갤러리는 전시 리셉션에 온 사람들로 가득 찼다. 콘라드 그레벨 대학 교수들과 학생들, 다른 대학에서 온 동료들, 워털루시의 한국인 코뮤니티, 그리고 남부 온타리오에서 온 사람들 이었다. 갤러리 디렉터의 환영사 후에 행길은 코리아 아트 포럼 업무의 개관과 예술의 힘에 대한 그의 믿음을 설명헀다. 그는 예술이 평화를 구축할 수 있다고 믿었다. 예술은 사람들이 국적과 문화정체성을 초월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상호이해와 보편적인 인류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는 그가 함께 자란 이북미술에 대한 편견을 기술했다. 또한 그는 그가 선정한 미술작품들이 그 편견을 깨는 양상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평화의 시대와 평화로운 땅> 전시를 실현 시키기 위하여 쏟아부은 수년간의 노력과 인맥을 설명했다. 전시개최 연설 후에 행길은 전시투어를 제공했다. 그는 전시작품들을 각기 설명했고, 작가를 소개했고, 그 작품들이 선정된 이유를 밝혔다. 또한 한 작품과 다른 작품의 관계도 해설했다.

나는 관객중에서 특히 한국 외교부에서 참사가 참석한 점에 충격을 받았다. 그는 리셉션에 참석하기 위하여 100킬로미터 이상을 토론토에서 워털루로 달려왔어야만 했다. 그는 자기 소개를 하고 전시를 용이하게 만든 나에게 감사를 표시했다. 그는 오타와에 방문하는 이북 외무성 사절단에 대한 정보를 주었다. 그리고는 나에게 내가 몸담고 있는 엔지오가 이북 사절단과 캐나다의 엔지오들과 만나는 회의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그 것은 충격 그 자체였다. 이북 외교관과 만나는 자리에 대표적인 캐나다 엔지오들이 있을 것이라고 장담하는 이남의 참사가 이 자리에 온 것이다. 우리의 리셉션은 이미 전시의 주제를 — 경계를 너머 자유롭게 소통하고 상대의 가치와 세계관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동시에 정의와 진리를 추구한다는 주제를 — 실행하고 있지 않는가?

An Era of Peace, A Peaceful Land started from July 12 – October 5, 2018, at the Grebel Gallery in Waterloo, Ontario Canada, with the title, A New Era of Peace and a Peaceful Land. The gallery is part of the Kindred Credit Union Centre for Peace Advancement at Conrad Grebel University College on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of Waterloo, and has a mandate to support artistic experimentation in pursuit of justice and peace. The title of this exhibit came for phrases taken from the speeches of South Korean President Moon and North Korean Chairman Kim at the inter-Korean Summit on April 27, 2018. The theme of the exhibit was:

Peace is not an absence of war, but the living process of freely interacting with others across borders seeking to understand their values and perspective, while striving for justice and truth.

This theme was carried out in the selection of the artwork and artists represented in the show. Kyung-bo Han from North Korea painted a demonstration in Pyongyang in 1989 during the 13th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and Suh Youngsun from South Korea portrayed demonstrations from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Seoul. In the same exhibit viewers were able to compare paintings of Mt. Paektu in North Korea by North Korean artists Chang-Ho Choi, Hyun-il Kim and Sung-il Oh with a painting of Mt. Halla in the South by South Korean artist Tae-soo Shin. Similarly there was a Korean landscape by Tae-Seok Ju from South Korea. The viewer was then challenged to compare those Korean perspectives of nature and landscape with pieces by American artists, Robert Morris and Joel Carreiro.

The photography in the exhibit compared and contrasted the photographs five artists: Song-Gwang Hong, Myong Un Kim and Ryong Kim from North Korea, Shen Yang from China and Zaun Lee from New York. The extensive collection of photographs of urban and cultural landscapes in four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showed both our common human heritage and the differing perspective of each artist.

The exhibit was further enriched by being able to see North Korean Song Gwang Hong’s portrait of an individual, on the wall beside American Artist Emmanuel Faure’s collage of photographic portraits. New York artist, Nikki Schiro’s sculpture embodied Asian understanding of personal peace.

The New Era of Peace and a Peaceful Land exhibit at Conrad Grebel University College had been up since July 12th, but the Exhibit Reception was planned for September 20th, when curator Heng-Gil Han would give an introductory lecture, and do a curator’s tour of the exhibit for all who came. Several hours before the opening of the program, an art class from a local private high school that had many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came to the gallery for an advance tour of the exhibit. For over an hour, Heng-Gil had the rapt attention of a very diverse Asian/Canadian high school art class as he walked them through the exhibit. For most of the students, this exhibit was their first exposure to North Korean art outside of the propaganda “art” which is often portrayed in Western media. They were astounded to meet a Korean/American curator who could introduce them to authentic North Korean art, and bring their works together with that of South Korean and New York artists from a variety of ethnic backgrounds. The entire class requested their photograph be taken with Heng-Gil in front of the exhibit.
Korea has been in the news in the West since the Singapore Summit, and Canada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but behind the scenes, role in encouraging interaction among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In January, Canada co-hosted with the US the Vancouver Foreign Ministers’ Meeting on Security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ly, Canadians facilitated a visit by five researchers from th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in Pyongyang to attend a 5-day intensive course in agriculture at the University of Manitoba in Saskatchewan. In late September, Global Affairs Canada hosted a delegation from the DPRK Foreign Ministry in Ottawa for meetings with Canadian government officials and representatives from the Canadian NGO community.

The Grebel Gallery was packed for the Exhibit Reception. A quick survey of the audience revealed faculty and students from Conrad Grebel and the other colleges of the University of Waterloo, the Korean community of Waterloo and other interested persons in southern Ontario. After a welcome by the director of the Grebel Gallery, Heng-Gil Han gave an overview of the work of the Korea Art Forum, and his vision of the power of art to build peace through helping people transcend their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ies and begin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our common humanity. He described the stereotypes of North Korean art with which he had grown up, and the ways in which the art that he has selected refutes those stereotypes. He described the years of work and relationships that went into bringing together A New Era of Peace and A Peaceful Land exhibit. After the opening remarks, Heng-Gil Han gave a gallery tour for the audience, describing each work of art, the artist who had created it, the reason it was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of that piece to the other art in the exhibit.

Among the audience, I was particularly struck by the fact that a counselor from the South Korean Consulate in Toronto, over 100 km to the east, had come to Waterloo to attend the reception. He introduced himself and thanked me for my help in facilitating the exhibit. He then informed me the upcoming visit of the North Korean Foreign Ministry delegation to Ottawa, and asked me if the NGO that I represented would participate in the meeting with the Canadian NGO community. I was struck. Here was a South Korean Counselor trying to assure that there would be good representation from the Canadian NGO community for a meeting with North Korean diplomats. Could it be that our reception was already implementing the exhibit theme — freely interacting with others across borders seeking to understand their values and perspective, while striving for justice and truth?

  1. 전시가 개최된 대청도 구 면사무소
    The former Daecheong Myon office where the exhibition took place.
  2. 전시 설치 모습
    An installation view of the exhibition
  3. 인천문화에술회관에서 개최된 전시 모습들
    Installation views of the exhibition at Incheon Culture & Art Center
  4. 전시장 입구
    Entrance to the exhibition